728x90
반응형
1. UI의 설계 지침으로 틀린 것은?
① 이해하기 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② 주요 기능을 메인 화면에 노출하여 조작이 쉽도록 하여야 한다.
③ 치명적인 오류에 대한 부정적인 사항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한다.
④ 사용자의 직무, 연령, 성별 등 다양한 계층을 수용하여야 한다.
정답 : ③
- ① 이해하기 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 이 항목은 올바른 설계 지침입니다. UI는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② 주요 기능을 메인 화면에 노출하여 조작이 쉽도록 하여야 한다.
- 이 항목도 올바른 설계 지침입니다. 주요 기능을 메인 화면에 배치하면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찾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UI 설계의 기본 원칙 중 하나입니다.
- ③ 치명적인 오류에 대한 부정적인 사항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한다.
- 이 항목은 틀린 설계 지침입니다.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오류를 숨기면 사용자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 ④ 사용자의 직무, 연령, 성별 등 다양한 계층을 수용하여야 한다.
- 이 항목도 올바른 설계 지침입니다.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설계는 보다 포괄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넓은 의미: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 또는 가상의 매개체.
- 좁은 의미: 정보 기기나 소프트웨어의 화면 등에서 사용자가 직접 접하게 되는 화면.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정의: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을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인 경험.
- 사용자 중심:
-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디자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실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실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 일관성:
- 디자인의 모든 요소가 일관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버튼의 모양과 위치, 폰트 스타일, 색상, 아이콘 등이 모든 화면에서 일관되게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관성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쉽게 기억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버튼이나 조작 방법 등을 일관성 있게 제공해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습득할 수 있게 설계해야 한다.
- 단순성:
-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복잡한 조작이나 불필요한 정보는 최소화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조작 방법을 단순화시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켜야 한다.
- 결과 예측가능:
- 사용자가 어떤 기능을 작동시켰을 때 그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명확한 피드백과 직관적인 디자인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작동시킬 기능만 보고도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게 설계해야 한다.
- 가시성:
- 주요 기능과 정보는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찾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중요한 요소는 화면의 중심이나 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메인 화면에 주요 기능을 노출시켜 최대한 조작이 쉽도록 설계해야 한다.
- 표준화:
- 인터페이스의 기능 구조와 디자인을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한 번 학습한 후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기능이나 페이지를 접할 때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 기능 구조와 디자인을 표준화해 한 번 학습한 이후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접근성:
-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이는 연령, 성별, 인종,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을 포함합니다. 접근성은 다양한 사용자 계층을 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사용자의 연령, 성별, 인종 등 다양한 계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명확성:
- 모든 요소는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아이콘, 버튼, 레이블 등 모든 UI 요소가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 사용자가 개념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오류 발생 해결:
- 사용자가 오류를 쉽게 인지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오류 메시지는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나공과 함께 시작하세요!
IT 자격증 시험 준비의 표준, 시나공은 믿을 수 있는 파트너입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대비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면, 시나공 시리즈가 최선의 선택입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나공으로 시작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코딩일기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애자일(Agile) 방법론 |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기출문제 (0) | 2024.06.28 |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객체지향(Object Oriented)의 특징 (0) | 2024.06.28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객체지향(Object Oriented),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의 차이! (0) | 2024.06.27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미들웨어 (Middleware) (0) | 2024.06.26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의 유형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