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ython 17

[정보처리기사] [Python] 리스트와 for in문 활용 | 문자열 인덱싱 | 2024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4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파이썬 코드의 실행 결과를 쓰시오.a = ["Seoul", "Kyeonggi", "Incheon", "Daejun", "Daegu", "Pusan"] str = "S" for i in a: str = str + i[1] print(str)정답Seynaau해설  ▼비슷한 기출 문제도 같이 풀어보세요 ▼ [정보처리기사] [ Python ] 리스트와 문자열의 인덱스 활용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제문제다음 파이썬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class arr : li = ["Seoul","Kyeonggi","Iinchon","Daejeon","Daegu","Pusan"]str01 = ''for ..

[정보처리기사] [ Python ] 비교 연산자 ==| 파이썬 vs C vs Java 참/거짓 출력 차이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Python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실행 결과를 쓰시오.a, b = 100, 200 print(a == b)정답False해설 1️⃣ 변수 할당 a, b = 100, 200a = 100, b = 200이 할당됨 2️⃣ 비교 연산 수행 (비교 연산자 ==)print(a == b) a == b는 a와 b의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비교 연산자.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반환100 == 200은 거짓(False)이므로 False 출력 🔎 언어별 참/거짓 출력 차이 C언어: 1은 참, 0은 거짓Java: true, false (소문자)Python: True, False (첫 글자 대문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

[정보처리기사] [ Python ] for ... in 반복문과 range() 함수 | 시프트 연산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파이썬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a = 100result = 0for i in range(1,3): result = a >> i result = result + 1print(result)정답26해설 📌 for ... in 문 for ... in 문은 반복문으로,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범위(range) 등 순회 가능한(iterable) 객체의 각 요소를 순차적으로 접근하며 반복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기본 구조for 변수 in iterable: 실행📌 range( )range( )는 숫자들의 연속적인 범위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반복문(for)과 함께 자주 사용되며, 특정 범위의 숫자들을 차례로 생성합니다..

[정보처리기사] [ Python ] 리스트와 문자열의 인덱스 활용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제 풀이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제문제다음 파이썬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class arr : li = ["Seoul","Kyeonggi","Iinchon","Daejeon","Daegu","Pusan"]str01 = ''for i in arr.li: str01 = str01 + i[0] print(str01)정답SKIDDP해설📌 클래스 정의 및 리스트 초기화[참고] 리스트 [정보처리기사] Python 리스트(List) 관련 주요 메서드리스트(List)는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Python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리스트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주요 메서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august-jhy.tistory.comclass ..

[정보처리기사] [ Python ] 2차원 리스트 출력 문제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제 풀이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은 파이썬 소스 코드이다. 출력 결과를 쓰시오.lol = [[1, 2, 3], [4, 5], [6, 7, 8, 9]] print(lol[0]) print(lol[2][1]) for sub in lol: for item in sub: print(item, end='') print()정답[1, 2, 3]7123456789해설📌 리스트와 2차원 리스트리스트: 파이썬의 리스트는 여러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요소들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예: numbers = [1, 2, 3]2차원 리스트: 리스트 안에 또 다른 리스트를 요소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를 2차원 리스트..

[정보처리기사] [ Python ] 파이썬 집합(Set) 다루기 | 2020년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020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은 파이썬 코드이다. 출력 결과를 쓰시오.a = {'일본', '중국', '한국'}a.add('베트남')a.add('중국')a.remove('일본')a.update(['홍콩', '한국', '태국'])print(a)정답{'중국', '한국', '베트남', '홍콩', '태국'}해설이 문제는 파이썬의 집합(set) 자료형을 다루는 기본적인 문제입니다.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며, 순서가 없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add, remove, update 메서드의 사용을 묻고 있습니다.필수 개념 정리add(): 집합에 원소를 추가합니다. 중복된 값은 추가되지 않습니다.remove(): 집합에서 해당 원소를 제거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값을 제거하려고 하면 ..

[Python] 파이썬 숫자 변환과 반올림 | int(), float(), round() 사용법과 예제

해당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파이썬에서 숫자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반올림하는 것은 매우 흔한 작업입니다. 이를 쉽게 처리하기 위해 int(), float(), round()와 같은 함수들이 제공되며, 각 함수는 고유의 기능과 사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1️⃣ int() 함수int() 함수는 숫자나 문자열을 정수형(int)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부동소수점 수를 정수로 변환할 때는 소수점 이하를 버립니다. 또한,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해 정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제 1: 부동소수점을 정수로 변환result = int(3.99)print(result) # 결과: 3여기서는 3.99라는 부동소수점 수를 3이라는 정수로 변환합니다. 소수점 이하 숫자는 버려집니다.📌 예제 2: ..

[Python] 파이썬 제곱 연산자(**) | 파이썬에서 거듭제곱 계산 방법

해당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제곱 연산자(**) 정의제곱 연산자(**)는 두 숫자 중 첫 번째 숫자를 두 번째 숫자만큼 제곱하는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2 ** 3은 2를 3번 곱한 값인 8을 반환합니다.아래는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2의 3제곱- 2의 3승- 수학적 표현 (아래 이미지)1. 정수 제곱result = 2 ** 3print(result) # 결과: 8위 코드에서는 2를 3번 곱한 결과인 8이 반환됩니다.2. 부동소수점 제곱result = 2.5 ** 2print(result) # 결과: 6.25여기서는 2.5를 제곱하여 6.25를 얻습니다.     [참고] 부동소수점 제곱 연산과 오차 부동소수점..

[Python] 파이썬에서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방법 | //와 % 연산자

해당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파이썬을 배우는 과정에서 나눗셈 연산자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몫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는 수학적인 연산을 다루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와 % 연산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 연산자: 몫을 구하는 방법// 연산자는 파이썬에서 몫 연산자로 사용됩니다. 두 숫자를 나눈 뒤, 소수점 아래 부분을 버리고 정수 부분만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7을 3으로 나누면 2.333...이 되는데, // 연산자는 이 중에서 정수 부분인 2만 반환합니다.# 몫 연산자 예제result = 7 // 3print(result)..

[Python] 숫자 데이터의 연산자 |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해당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인 사칙연산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특히 나눗셈의 결과가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덧셈 (Addition)덧셈은 두 숫자를 더하는 기본적인 연산입니다. 파이썬에서는 + 기호를 사용하여 덧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덧셈 예제a = 8b = 12result = a + bprint(result) # 결과: 20위 코드에서 a와 b를 더하여 result에 저장한 후, 결과를 출력합니다. + 기호는 두 숫자를 더하는 데 사용됩니다.2. 뺄셈 (Subtraction)뺄셈은 한 숫자에서 다른 숫자를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