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141

[정보처리기사] [ C ] 배열 요소 삽입과 출력 |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include char Data[5] = {'B', 'A', 'D', 'E'};char c; int main(){ int i, temp, temp2; c = 'C'; printf("%d\n", Data[3]-Data[1]); for(i=0;ic) break; } temp = Data[i]; Data[i] = c; i++; for(;i정답4BACDE해설#include char Data[5] = {'B', 'A', 'D', 'E'};char c;배열 Data는 {'B', 'A', 'D', 'E'} → 요소 4개만 들어 있음 (5칸 중 마지막 칸은 초기..

[정보처리기사] [SQL] 두 테이블 조인 후 조건 필터링 |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아래와 같은 테이블이 있을때, 다음 SQL 문의 결과는?SELECT name, incentiveFROM emp, salWHERE emp.id = sal.id AND incentive >= 500;정답해설1️⃣ 테이블 구조와 조인 방식 이해emp 테이블은 직원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직원의 id와 name이 있습니다.sal 테이블은 직원의 급여나 인센티브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id와 incentive(인센티브 금액) 정보가 있습니다.두 테이블 모두 id 컬럼을 기준으로 직원과 급여 정보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2️⃣ 조인(Join) 개념FROM emp, salWHERE emp.id = sal.idemp와 sal에서 id가 같은 행끼리만 결..

[정보처리기사] [Java] try ~ catch문 | 예외 객체 |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Java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를 쓰시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5,b=0; try{ System.out.print(a/b); }catch(ArithmeticException e){ System.out.print("출력1"); }catch(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e) { System.out.print("출력2"); }catch(NumberFormatException e) { System.out.print("출력3"); }catch(Exception..

[정보처리기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검사) | 오류 제어 | 오류 검출 |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아래는 오류 검출 및 제어 기법 중 하나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기법의 영문 약자를 괄호 안에 쓰시오.- (  ) 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오류 검출 기법이다. - (  ) 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체크섬 정보를 포함한 후, 수신 또는 읽기 시점에서 이를 다시 계산하여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이진수(0과 1)로 표현한 뒤, 정해진 다항식(x³ + x + 1)을 기준으로 2진수 나눗셈을 수행하고, 그 나머지를 (  ) 값으로 사용한다.정답CRC(Cyclic Redunda..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해설

이 글에서는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와 정답,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른 회차 기출문제 및 해설 보기2024년 나머지 회차 기출 문제 및 해설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표도 함께 참고해 보세요. 회차링크 (클릭 시 페이지 이동)1회차🔗기출 문제 및 해설2회차🔗기출 문제 및 해설3회차🔗기출 문제 및 해설문제 1다음 Java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를 쓰시오.public class Main { static String[] x = new String[3]; static void func(String[] x, int y) { for (int i = 1; i 정답 정답: OOAAA"> 정답: ..

[정보처리기사] [ C ] 이중 포인터 |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include void func(int** arr, int size) { for(int i = 0; i 정답1해설📌 기본 개념1️⃣ 포인터 개념 int* p = arr;p는 arr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배열 이름(arr) 자체가 배열의 첫 번째 요소의 주소를 가리킵니다int** pp = &p;pp는 포인터 p의 주소를 저장하는 이중 포인터입니다. 이중 포인터란 포인터를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즉, 포인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int num = 10;int* p = # // p는 num의 주소를 저장int** pp = &p; // pp는 p의 주소를 저장위의 예시를 보면 ..

[정보처리기사] [Java] 제네릭(Generic) |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Java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를 쓰시오.class Printer { void print(Integer a) { System.out.print("A" + a); } void print(Object a) { System.out.print("B" + a); } void print(Number a) { System.out.print("C" + a);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Collection(0).print(); } public static class Colle..

[정보처리기사] [Java] try ~ catch문 | 예외 객체 |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Java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를 쓰시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try { func(); } catch (NullPointerException e) { sum = sum + 1; } catch (Exception e) { sum = sum + 10; } finally { sum = sum + 100; } System.out.print(sum); } static void func() throws Exceptio..

[정보처리기사] [Java] 상속 기본 개념 |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Java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를 쓰시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B a = new D(); D b = new D(); System.out.print(a.getX() + a.x + b.getX() + b.x); }}class B { int x = 3; int getX() { return x * 2; }}class D extends B { int x = 7; int getX() { return x * 3; }}정답52📌 기본 개념1️⃣ 클래스 상속 (extend..

[정보처리기사] [ C ] 구조체와 포인터로 노드 값 바꾸기 | 포인터를 활용한 연결 리스트 값 교환 | 2024년 3회 실기 기출문제 해설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문제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쓰시오.#include struct Node { int value; struct Node* next;}; void func(struct Node* node){ while(node != NULL && node->next != NULL){ int t = node->value; node->value = node->next->value; node->next->value = t; node = node->next->next; }} int main(){ struct Node n1 = {1, NULL}; struct Node n2 = {2, NULL}; struct Node n3 = {3, NULL};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