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엔드 48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 | 소스코드와 머신코드의 변환 과정

소스코드와 머신코드의 차이점과 컴파일러 및 인터프리터의 역할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자주 언급되는 소스코드와 머신코드는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소스코드와 머신코드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해주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소스코드와 머신코드란 무엇인가?소스코드는 개발자가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성된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작성되며, C, Python, Java와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됩니다. 소스코드는 프로그램의 로직과 기능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반면, 머신코드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이진 코드입니다. 소스코드가 컴파일되거나 해석되어 생성된 최종 결과물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의 나열..

코딩일기 2024.08.26

프레임워크(Framework)와 라이브러리(Library) 차이점 | 개발 상식, 개발 면접 질문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차이점: 알아야 할 핵심 개념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기 시작하면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두 개념은 모두 개발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도구이지만, 역할과 사용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라이브러리(Library)란 무엇인가?**라이브러리(Library)**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미리 작성된 코드의 집합체입니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를 줄일 수 있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필요할 때 특정 기능을 호출해서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HTTP 요청 처리, 수학 연산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 라이브러리를 호출해 사용할 ..

코딩일기 2024.08.26

코딩이란?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코딩, 프로그래머의 차이점과 정의

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자 하는 분들이나 IT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이 자주 헷갈려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코딩, 그리고 프로그래머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용어들의 정확한 정의와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1. 프로그램 (Program) - 컴퓨터의 '레시피'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특정 작업이나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명령어들의 집합입니다. 컴퓨터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주어진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작업을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용하는 워드 프로세서, 웹 브라우저, 게임, 운영 체제 등은 모두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비유: 프로그램은 요리 레시피처럼 특정 결과를 얻기 위해 따라야 하는 지침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2. 프로그래밍 (Programming) - 프로그..

코딩일기 2024.08.23

Ad hoc 테스트와 탐색적 테스트 : IT QA 테스트 용어 정리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Ad hoc 테스트와 탐색적 테스트는 빠르고 유연하게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테스트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테스트 방법의 정의, 예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프로젝트 상황에 맞는 최적의 테스트 전략을 선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 Ad hoc 테스트란?Ad hoc 테스트는 비공식적이고 비구조적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방법입니다. 테스터가 특정한 계획이나 문서화된 절차 없이, 즉흥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이 테스트는 주로 긴급한 문제를 신속히 해결해야 하거나, 기능 추가 후 빠르게 검증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예시로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후 개발자가 해당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즉석에서 ..

코딩일기 2024.08.20

[정보처리기사] 트랜잭션의 정의와 4가지 특징(ACID) |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트랜잭션(Transaction) 정의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하나의 논리적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연산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작업들을 묶은 것으로, 모든 작업이 완벽하게 수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혀 수행되지 않은 것처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1️⃣ Atomicity (원자성)트랜잭션의 작업들은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트랜잭션 중 일부 작업만 수행되는 경우는 허용되지 않으며, 만약 트랜잭션이 중단되면 이미 수행된 작업도 모두 취소(롤백)되어야 합니다.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되어야 한다는 특성2️⃣ Consi..

[정보처리기사]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용어 정리 | 정보처리기사 기출 정리

애드-혹(Ad-hoc) 네트워크애드 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재난 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Mobile Host)만을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망을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나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다.멀티 롭 라우팅 기능을 지원한다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 하향식 통합 테스트, 상향식 통합 테스트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제

통합 테스트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가 끝난 모듈들을 결합하여 전체 시스템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을 중점적으로 검증하며, 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입니다.대상: 단위 테스트를 통과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 및 연동 기능목적: 모듈 간의 상호작용이 올바른지 확인접근: 구조적으로 접근1. 하향식 통합 테스트정의: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특징:통합 방식: 깊이 우선 통합법 또는 넓이 우선 통합법 사용.주요 제어 모듈: 상위 모듈은 실제 코드로 작성되며, 하위 모듈은 스텁(Stub)으로 대체.스텁: 실제 하위 모듈의 기능을 대신하는 임..

[정보처리기사] Gof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 정리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문구 정리

📌 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s)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전형적인 해결 방안 또는 예제입니다. 각 모듈의 세분화된 역할이나 모듈 간 인터페이스와 같은 코드 작성의 세부적인 구현 방안을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입니다.정의 : 디자인 패턴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패턴들의 모음체계화: 1995년 GoF(Gang of Four)가 처음으로 구체화 및 체계화.에리히 감마, 리차드 헬름, 랄프 존슨, 존 블리시디스에 의해 개발 영역에서 디자인 패턴을 구체화하고 체계화 시켰다.일반적 사례 적용: GoF의 디자인 패턴은 일반적인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 패턴들을 분류하고 정리..

클래스와 객체의 차이점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해하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의 핵심 개념인 클래스와 객체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그 역할과 의미는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래스와 객체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겠습니다.클래스 (Class)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또는 청사진)입니다. 클래스는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여 객체의 상태와 행동을 기술합니다. 즉, 클래스는 객체의 구조와 동작을 정의합니다.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객체 (Object)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구조와 동작을 실제로 구현한 실체(또는 인스턴스)입니다.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메모리 상에 실제로 존재하며 클래스에서 정의한 속성과..

코딩일기 2024.07.26
728x90
반응형